세계경제는 지금 치솟는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 공급망 대란 등의 여파에 시달리는 중이다. 이와중에 미국이 2분기 연속 GDP성장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대해 알아보자.

* 미국 2분기 GDP 역성장
미국 성장률이 2개 분기 연속 마이너스(-) 기록
- 미국 1분기 역성장(전분기연율 -1.6%)
- 이어 미국 2분기 GDP (전분기연율 -0.9%) 역시 마이너스로 역성장
Q. 그렇다면 경기침체인가?
- 경기침체를 정의하는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통상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시 기술적 침체로 인식.
- 다만, 미국은 경기를 판단할 때 노동시장을 유심히 살펴본다는 점에서, 둔화 국면임은 분명하지만 침체까지는 가지 않았다는 관측이 더 많은 분위기
- 가장 신뢰성있는 미국경기침체 시그널은 바로 역전된 수익률곡선
출처: https://www.livewiremarkets.com/wires/us-recession-risk-to-rise-in-2023-2024
US recession risk to rise in 2023/2024
We believe that one of the biggest issues for financial markets in the period ahead is the risk of a recession in the world's largest economy bringing down equity values and other associated asset classes. We have developed models to forecast the risk of r
www.livewiremarkets.com
Forecasting recessions in the US is difficult, but the most reliable and robust predictor of the risk of recession remains the yield curve, where the yield curve has inverted prior to past recessions.
미국의 경기침체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만, 경기침체 위험 예측 지표로 가장 신뢰성 있는 것은 수익률곡선이며, 바로 수익률곡선이 과거 경기침체 앞서 역수익률곡선을 보여왔기 때문이다.
그렇다, 미국은 지난 60년동안 경기침체에 앞서 역수익률곡선이 나타났다.
역수익률 곡선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만기에 따른 채권금리를 나타내는 곡선인데, 일반적으로 만기가 길수록, 장기일수록 금리가 높다. 이는 유동성에따른 프리미엄으로 기간에 자금을 묶이는데에 대한 비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러나 역수익률곡선은 장기에 금리가 더 떨어질 거라 생각한다는 것 = 이는 향후 경기침체 가 심화되어 정책적으로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것이다라는 예측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 = 향후 미래의 경제력 악화 예상.
최근 2년물이 상승하고 10년물이 하락하면서
장단기금리 역전폭이 확대 중. 그러나 아직까지 고용시장이 강력하므로 경기침체 여부에 대해 논쟁이 있는 것.
Q. 그런데 미증시는 오히려 왜 올랐나?
- 경기 침체 우려는 제기되나, 연준의 긴축속도 둔화 가능성이 반영되면서, 뉴욕증시 상승, 국내 증시도 이에 연동하여 상승
- 연준의 긴축 강도 완화라는 기대감으로 주식시장이 상승하였으며, 이러한 흐름은 8월 둘째주에 전월말 CPI 발표 이전까지 지속 가능성
<2분기 역성장에 기여한 부문>
1) 재고투자(-2.0%p)
2) 고정투자(-0.7%p)
3) 정부지출(-0.3%p)
- 재고투자 감소로 인한 영향이 가장 크다.
이는 기업들이 지난 해 쌓아둔 재고들을 정리하기 시작했기 때문.
- 코로나와 공급망 차질, 견조한 소비 기대 등으로 기업들은 재고투자를 늘려왔는데, 공급망 차질이 점차 해소되기 시작하고 경기에 대한 기대감은 약화되면서 기업들은 기존에 쌓아둔 재고를 사용하기 시작
** 미국과 한국 기업들의 2분기 실적은 매우 견조함
그러나 기업들의 향후 전망은 부정적이기에 재고투자를 줄이고 있는 것.
=> 2분기 이후의 실적에 따라 섹터간 온도차가 커질 것이다!
장기투자 하기에는 리스크가 큰 시점 같으다
'경제 현황 및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금해서 찾아본 레드북 소매지수란 무엇인가 알아보자. (0) | 2022.11.23 |
---|---|
ECB도 50bp 빅스텝 금리인상! (예금금리(DF), 재융자금리(REFI), 한계대출금리(MLF), MRO, 전달보호기구(TPI)란?) (0) | 2022.07.27 |
한국은행의 사상 첫 빅스텝과 그 영향 (0) | 2022.07.21 |
원달러 환율 1300원 돌파, 13년만의 일 지하실은 어디까지? (0) | 2022.06.23 |
22.06.21 오후4시 누리호 발사 성공! 다음 목표는 달?! (0) | 2022.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