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금금리(DF) : -0.5% -> 0.0%
- 재융자금리(REFI) : 0.0% -> 0.5%
- 한계대출금리(MLF) : 0.25% -> 0.75%

물가상승 압력을 고려해 마이너스 정책금리를 벗어나야 하는 조치 필요 언급

-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 가능성 약화 및 인플레 대응 필요성으로 50bp인상 결정 (이는 2011년 이후 11년 만의 금리인상임)

+) 부당한 국채 스프레드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TPI보완정책 시행

■ DF, REFI, MLF, MRO란?

- DF(예금금리 ; the rate on the Deposit Facility) : 시중은행들이 ECB에 자금을 예치할 때 적용되는 금리

- MRO(주금융금리 ; Main Refinancing Operations ) : ECB가 유로존 각국 시중은행에 대출 시 적용하는 금리 (7일물)

- MLF (한계대출금리 ; Marginal Lending Facility) : 단기간 대출 금리, 1일물 초단기 금리

- REFI (재융자금리 ; ECB-refinancing-rate)
* 한국은행의 기준금리는 공개시장운용에 적용되는 정책금리
* ECB는 DF, MLF, MRO 의 세가지 금리를 묶어서 정책금리로 활용한다 (리파이낸싱 금리)

<REFI 금리 히스토리>


<ECB에서 설명하는 개념>
The main refinancing operations (MRO) rate is the interest rate banks pay when they borrow money from the ECB for one week. When they do this, they have to provide collateral to guarantee that the money will be paid back.

The main refinancing operations rate is one of the three interest rates the ECB sets every six weeks as part of its work to keep prices stable in the euro area.

The other two rates are the rate on the marginal lending facility, which is the rate at which banks can borrow from the ECB overnight (this costs them more than if they borrow for one week), and the rate on the deposit facility, which defines the interest banks receive – or have to pay in times of negative interest rates – for depositing money with the ECB overnight.


■ TPI (전달보호기구) 란?

- TPI (Transmission Protection Instrunment)
금융조건의 악화를 겪게 되는 국가에서 발행한 채무증권을 시장을 통해 매입하는 조치

* 일종의 자산 매입 프로그램(APP) 조치인데, 국채, 지방채 등의 채권 등을 매입하면 통화량이 시중에 풀리게 된다.

비슷한 개념들로는
* 한국은행의 공개시장운영 - 한국은행이 금융시장에서 금융기관을 상대로 국채 등 증권을 사고팔아 시중에 유통되는 화폐의 양이나 금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 통화수단

* PEPP (팬데믹긴급매입프로그램) - 코로나19에 대응해 2020.3월 도입한 500억유로 규모의 채권 매입 프로그램

* 양적완화는 일반적인 국채매입을 넘어서 장기채나 위험성 높은 채권까지도 매입



□ 이번 TPI의 도입 이유와 매입 규모는?
- 남유럽 국가들(PIGS)의 채권금리 상승을 제한 하기 위함, 이들 국가의 금리 안정을 위해

- 리스크의 심각성에 따라 구매규모를 설정하여 매입한다 (The scale of TPI purchases would depend on the severity of the risks facing monetary policy transmission.)

👉 정책금리 인상 + TPI도입 서로 상반되는 정책 사용

TPI 도입하여 시중에 통화량이 폴리면 금리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 + 정책금리 인상??

=> ECB의 통화정책 스탠스가 모호하고 불확실하다고 볼 수 있음.



<ECB 정보출처>
https://www.ecb.europa.eu/press/pr/activities/mopo/html/index.en.html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