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ISSUE

- 2022년도부터 리보 산출이 단계적으로 중단

- 미래에셋증권 HTS에서는 이미 2021.12.24일 이후로 리보금리가 안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 2022년부터 산출 중단 : 파운드, 유로, 엔화 리보 (非USD 리보)

- 2023년 7월부터 산출 중단 : USD 리보

- 대체금리 : 한국 - KOFR (한국 무위험 지표금리), 미국- SOFR

1. Libor금리란 무엇인가?

- LIBOR :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s (런던은행간 제공금리)

- 영국 대형 은행들이 제시한 금리를 기초로 산정된 평균금리

- 영국 은행들끼리 자금수요를 맞추기 위해 단기 (통상 6개월 이내) 주고 받는 금리조건을 지칭

산출 방법 : 호가 기반 산출금리로 총 5개 통화(USD, GBP, JPY, EUR, CHF)로 산출됨.

2. 왜 리보금리가 사용 중단되는가?

- 2012년 리보조작사건으로 인한 신뢰성 상실 (호가 담합사건)

* '12년 6월 리보금리 호가은행이 자신들에게 유리하도록 금리를 제시함으로써 리보금리 수준을 왜곡한 것이 영ㆍ미 금융당국에 적발

=> 호가기반의 리보로 인해 발생한 문제로 실거래에 기반하여 산출하는 대체금리로 전환 중이다.

* FSB는 실거래 기반의 RFR 개발 권고

LIBOR 금리의 조작사태 이후 EU는 금융거래지표의 신뢰성과 투명성 제고를 위해 벤치마크법(BMR)을 제정(‘16.6월) 및 시행(’18.1월)하였으며, FSB는 실거래 기반의 무위험지표금리(RFR) 개발을 각국에 권고

3. 현재 리보금리 계약 관련 방안 및 현황?

- 리보금리 사용중단에 따른 회계처리 완화방안 진행 중

- 리보금리는 전 세계 금리의 기준이었음. (특히 외화기업대출, 주택담보대출, 파생거래, DLB 등)

- 미 재무회계위원회 : 2024년 12월 31일까지 리보금리 사용중단에 따른 회계저리 유예조치 연장안 승인

- 영국 금융행위감독국 : 2021년 3월 은행들이 2023년 6월까지 (18개월 추가)까지 기존 부채에 대해 리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연장

 

<국내 리보금리 계약 관련 현황>

- 非USD 리보 관련 계약 국내 전환율 97% (잔여 5조원) / USD 리보 관련 계약 전환율 87%

리보금리 전환율 / 출처: 금융위원회
리보금리 전환율 / 출처: 금융위원회

- 일단 금융기관간 거래에서는 선제적으로 대체금리 적용 관련 계약을 맺었음 (Fallback 조항 - 대체조항)

* Fallback조항은 향후 리보금리 폐지되면 무슨무슨 금리 써서 할꺼다~ 이런 조항이라 생각하면된다.

대체금리 적용 시 금융사별 자산에 수십억 ~ 수백억의 평가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대체조항이 없는 대 고객거래는 건별로 고객들에게 안내하고, 추가로 약정서를 체결해야 한다.

대고객거래에서도 대출 약정서에 리보금리 산출중단 배경부터 고객에게 변경 사실 통지, 계약 변경 부동의시 이의 제기, 계약 해지 등에 대한 안내 등의 대체조항을 적용

4. 대체금리들을 알아보자 (SOFR, CME TERM SOFR, KOFR)

 

대체금리

(1) 미국 SOFR - 미국 국채를 담보로 하는 환매조건부채권거래(레포) 1일물을 기반으로 산출되는 금리

- 연준이 산출 및 공표하는 준거금리

- 아메리보(Ameribor) 보다 신용에 덜 민감하다

- 1일 단위로 금리를 계산해 90일치로 환산하는 등의 절차적 복잡성이 수반됨.

SOFR에 대해서 크게 알아둬야할 것이 두 가지가 있다.

1) 뉴욕연방준비은행에서 공시하는 SOFR 및 SOFR 평균지수

< SOFR공시 사이트 - 뉴욕 연방준비은행 >

SOFR 평균 및 지수 데이터 - 뉴욕 연방준비은행 (newyorkfed.org)

> SOFR은 거래규모 가중 중간값(Volume-weighted median)으로 1,25,75,99분위 값과 함께 매 영업일 8:00시경 발표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 Data

The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 (SOFR) is a broad measure of the cost of borrowing cash overnight collateralized by Treasury securities.

SOFR is calculated as a volume-weighted median, which is the rate associated with transactions at the 50th percentile of transaction volume. Specifically, the volume-weighted median rate is calculated by ordering the transactions from lowest to highest rate, taking the cumulative sum of volumes of these transactions, and identifying the rate associated with the trades at the 50th percentile of dollar volume. At publication, the volume-weighted median is rounded to the nearest basis point.

SOFR은 거래량 가중규모 가중 중앙값 방식으로 계산하는데, 최저금리에서 최고금리까지의 거래에서 누적 거래량 중 제 50백분위 수 국채담보 1일물 RP 이자율 값이다.

> SOFR 평균 및 인덱스 데이터

: SOFR 평균은 30일, 90일 및 180일 기간 동안 SOFR의 평균을 복합화(Compounding)

SOFR 지수는 첫 번째 측정일인 2018년 4월 2일에 초기 값이 1.000으로 설정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SOFR을 복합화하는 누적적인 영향을 측정

 

SOFR 평균 및 인덱스 데이터 / 출처 : FRB NY

SOFR Averages and Index Data

As an extension of the 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 (SOFR), the SOFR Averages are compounded averages of the SOFR over rolling 30-, 90-, and 180-calendar day periods. The SOFR Index measures the cumulative impact of compounding the SOFR on a unit of investment over time, with the initial value set to 1.00000000 on April 2, 2018, the first value date of the SOFR.

<SOFR 평균 계산방법>

SOFR 평균 계산방법 / 출처 : FRB NY

- SOFR값이 적용되는 일수를 적용해서 평균값을 계산하는데, 12/31일이면 12월 30일까지의 SOFR 값을 포함하여 계산한다. (그래서 최종 SOFR관측일보다 하루 늦게 SOFR평균값이 공시된다.) => 위에 보면 SOFR은 12/30일, SOFR 평균 및 지수는 12/31일까지 공시된 걸 볼 수 있다.

2) CME 그룹에서 공시하는 CME Term SOFR

< CME Term SOFR공시 사이트 - CME Group >

Term SOFR - CME Group

출처 : CME 그룹

CME Term SOFR Reference Rates provide an indication of the forward-looking measurement of overnight SOFR, based on market expectations implied from derivatives markets.

* FORWARD-LOOKING MEASUREMENT, EXPECTATIONS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향후 파생상품 시장에서 거래될 SOFR기대치가 TERM SOFR이다.

즉, 파생상품거래 시에 주로 (1) SOFR AVERAGE를 사용하고, 외화대출 시에는 (2) CME TERM SOFR을 사용하는 것 같다.

(2) 한국 KOFR - 국채․통안채 익일물 RP거래 기반 금리

- CD금리는 호가기반 금리이기에 실거래 RP거래 기반으로 지표금리 KOFR 개발

* ‘21.2월 국채․통안채 익일물 RP거래 기반 금리를 무위험지표금리로 선정, ’21.9월 중요지표로 지정

- KORF 공시 사이트 : www.kofr.kr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매일 오전 11시 산출․공시

 

한국예탁결제원 KOFR 공시화면

(기초시장) 장외 기관간 환매조건부매매(RP) 시장

※ 장내RP, 대고객RP(자본시장법 181조), 한국은행RP(공개시장운영) 및 직거래는 제외

(담보⋅일물⋅통화) 국채⋅통안증권 / 익일물(영업일) / 원화(KRW)

(산출주기) 기준일자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익영업일 산출⋅공시

(계산방식) 「극단치 제거 거래량(거래금액) 기준 가중평균」방식

(계산순서) ① 기초자료* 정렬(RP금리順) → ② 극단금리 제거 → ③ 가중평균금리 계산 → “무위험지표금리 산출”

※ 기초자료가 국채⋅통안증권 익일물 거래로 선별된 상태

① 개별거래의 RP금리 내림차순 → 거래금액 내림차순 → REPO번호 내림차순으로 기초자료 정렬

② 거래량 상위⋅하위 5%에 해당하는 기초자료 제거

③ 극단치 제거된 기초자료(②의 결과) 대상으로, 거래량 가중 평균 무위험지표금리 산출

 

KOFR 산출식 / 출처 : 한국예탁결제원

 

 

 

매우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호가 기반의 리보금리의 원천적인 문제(조작가능성) 때문에 실거래 기반으로 대체금리로 전환 중이고, 각 국가마다 대체금리(RFR)를 정해서 사용하는데 미국은 주로 SOFR, 한국은 KOFR을 사용한다. 둘 다 국채담보 RP 거래 기반 금리이고, 산출방식은 비슷한데 SOFR은 중앙값(median)이고, KOFR은 평균값(Average)이다. 뭔가 파생,대출 계약이나 금융시장 데이터들이 한층 더 복잡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