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500 지수>
미국의 스탠더드 앤드 푸어사가 기업규모·유동성·산업대표성을 감안하여 선정한 보통주 500종목을 대상으로 작성해 발표하는 주가지수

종목구성비율 1~5위는 테슬라, 애플, 엔비디아, 아마존, AMD이다.

미국 S&P500 지수는 연초대비 21%, 나스닥 지수가 31% 하락했다. '퍼펙트 스톰(개별 요인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나, 다양한 요인들이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며 파괴력을 확대, 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한 경계심이 커진 결과다. 자그마한 요인에도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

매수 타이밍은 FOMC 회의(16일 3시), 영국의 BOE 회의(16일 오후 8시), 일본의 BOJ 회의(17일) 결과를 확인하고 진입해도 늦지 않다.

연초대비해서는 21%하락이지만, 길게 본다면 코로나 사태 직전시기까지 빠지지도 않았다. 아직까지도 하방요소가 많이 남아있다고 볼 수 있다.

<관련ETF펀드>
■ ETF
- ETF(Exchange Traded Fund)는 말 그대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최근에는 시장지수를 추종하는 ETF외에도 배당주나 거치주 등 다양한 스타일을 추종하는 ETF들이 상장되어 인기를 얻고있다

※인덱스펀드: 일반 주식형 펀드와 달리 KOSPI 200과 같은 시장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쫓아가도록 구성한 펀드.

- 미국ETF 대표 3대지수
(1) QQQ ETF : 나스닥 100지수 추종
(2) SPY ETF : S&P지수
(3) DIA ETF : 다우지수

이중 S&P500지수 추종 해외펀드 중에는 대표적으로 SPY, IVV, VOO가 있다.

특히 SPY는 S&P 500 지수 수익율을 추종하며, 전세계에서 운용규모가 가장 크고, 가장 많이 거래되는 ETF 중 하나이다. 스프레드가 작으며 유동성이 높아 거래가 용이하여 미국 대형주 단기 투자자들에게 적합할 수 있다.

국내에 S&P지수 추종 인덱스펀드는 KB자산운용이 운용하는 것은 KBSTAR, 미래에셋은 TIGER이다.

+ Recent posts